예전에 webui로 stable diffusion을 이용하여 혼자 Ai그림을 만들어 봤었던 적이 있는데, 다시 시도해보려고 하니 요즘에는 잘 안 쓰는 것 같아서 다른 것을 찾아보았다.
로컬로 컴퓨터 그래픽카드 자원을 사용해서 만드는 프로그램으로 최근에는 Reforge 혹은 ComfyUI를 쓰는 것 같은데, comfyui에서 wan을 사용하면 짧은 동영상도 만들 수 있다기에 comfyui로 선정했다.
그래픽카드가 3000번대보다 낮거나 초보자는 NovelAI 사이트에서 만드는게 좋다고 하는데, 구독제라서 한달에 25달러다. 어차피 돈 쓸 것도 아니고 그래픽 카드도 아직은… 현역이니 로컬로 만들어보려고 한다.
설치하기
ComfyUI | Generate video, images, 3D, audio with AI
일단 공식 사이트에서 설치부터 진행한다! 전부 다음을 누르고 설치 한다.
파이썬 환경 설정도 알아서 진행해준다. 친절하다.

실행 후 만들어보기
설치를 완료했더니 아래와 같은 창이 반겨준다.

이게 뭐야?
일단 ▷ 실행 버튼을 누르니까 사진이 나온다.

일단 프롬프트가 있고, 긍정조건과 부정조건이 있는 부분이 있어 만들고 싶은 그림에 대한 프롬프트를 작성해준다. 프롬프트 내용작성은 ChatGPT의 도움을 받자.

결과물?
이제 다시 실행을 눌러보니 뭔가가 나왔다.

억울해보이는 람쥐썬더 같은 호랑이가 나왔다.
홀쭉하고 힘없어 보여서 정전기나 겨우 만들 것 같다.
이제 왜 해보다 말았는지 기억이 날듯말듯하다.
도움!
“체크포인트”라는 다른사람들이 학습시켜놓은 학습모델을 추가해주었다.
Civitai Models | Discover Free Stable Diffusion & Flux Models 여기서 checkpoint라고 쓰여있는 것을 골라 맘에 드는 것을 다운로드 받는다.
.safetensors 확장자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ComfyUI가 설치된 폴더에 넣어준다.
설치할 때 다음만 눌렀으면 기본 설치폴더는 내 문서이다.
Documents\ComfyUI\models\checkpoints
경로에 파일을 넣어주고 comfyui를 재시작해서 방금 다운로드받은 체크포인트를 선택하여 다시 만들어주었다.


뭔가 멋진 호랑이가 만들어졌다!
아까에 비하면 훨씬 그럴듯한 무언가가 만들어졌다.
프롬프트는 그대로인데 모델 하나 바꿨다고, 집 잘 지킬 것 같은 늠름한 호랑이가 나왔다.